본문 바로가기
여러가지 정보

심폐소생술

by 늘 편한 자리 2014. 10. 20.

 심폐소생술

 

6월 29일 밤 12시가 가까운 늦은 시간. 서울 영등포구의 한 나이클럽에서 웨이터로 일하는 김모 씨(63)는 머리를 식히려고 옥상에 갔다가 깜짝 놀랐다.

동료 웨이터인 최모 씨(59)가 홀로 바닥에 쓰러져 있었던 것. 급히 흔들어 깨웠지만 숨도 쉬지 않았다.

김 씨는 사태가 심상치 않음을 깨닫고 한 손으로는 최 씨의 가슴을 압박했고, 한 손으로는 휴대전화를 꺼내 119에 다급히 신고했다.

마침 동료들이 올라와 119구급대원의 전화 지시에 따라 심폐소생술을 돌아가며 실시했다.

당시 쓰러졌던 최 씨는 병원으로 이송됐고 현재는 회복돼 예전처럼 나이트클럽에서 일하고 있다.

동료를 구한 김 씨는 “사고 얼마 뒤 현장에 출동했던 경찰관이 전화를 해 ‘장례는 잘 치렀느냐’고 하기에 ‘무슨 소리냐. 살았다’고 얘기를 해줬다”며 웃으면서 말했다.

보기 드문, 운이 아주 좋은 사례다.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구급대가 도착하기 전 심폐소생술을 실시한 비율은 1.4%에 불과하다. 미국, 일본 등 선진국의 30% 이상에 비해 턱없이 낮다. 최초 목격자가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살아날 확률이 12.2%이지만, 실시하지 않으면 병원으로 옮겨도 고작 2.8%만 목숨을 살릴 수 있다. 특히 심장이 정지된 후 1분 내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생존율은 97%로 올라간다. 4분 내에 실시하면 뇌손상을 막을 수 있다. 이렇기에 심정지(심장이 멈춰 혈액 공급이 멈춘 상황) 사고 발생 후 4분은 ‘기적을 일으키는 4분’이라 불린다.

 

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“심정지 사고 발생 후 최초 목격자가 신고하는 데 평균 5분, 구급대가 도착하기까지 평균 7, 8분이 소요되는 만큼 물리적으로 심정지 피해를 막기 위한 ‘황금 시간’을 놓치기 쉽다. 심정지 사고의 60% 이상이 집에서 발생하는 만큼 가족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 심폐소생술 방법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”고 강조했다.